금호산업 매각, 그 많은 희생 속에 지킨 것이 재벌 경영권

[소셜파워] 국가가 살린 기업, 재벌에 다시 퍼주기

이처럼 재벌기업의 워크아웃 후 재벌 되사기는 모순 덩어리로 가득 찬 사기극과 같다. 재벌지배 구조를 악화시키는 순환출자의 허용, 워크아웃 과정에...

대우조선해양 사태, 어떻게 볼 것인가?

[소셜파워] 공적자금 투입기업의 사회적 통제를 실현하자

조선업계의 불황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7월 15일 대우조선해양의 2조원대 손실 은폐 의혹이 제기되어 시장에 충격을 주었다. 그리고 7월 ...

그리스 사태를 보는 한국의 교훈[1]

[소셜파워] 디폴트, 시장 방식으로 해결해라

뒤늦었지만 투자자의 책임도 함께 묻고 그리스를 국가부도로 빠져들게 만든 그리스 국내 자본과 이들과 결탁한 정치세력들에게 책임을 묻는 방식을 찾아...

사회적 경제론 비판[1]

[주례토론회] 맑스 엥겔스 국가론과 사회적 경제론

절반은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지역 화폐 운동 논의 속에서 사라진 국가”를 나머지 절반을 맑스 엥겔스의 저작 중에서 현재 사회적 경제라 불리...

삼성물산 사태의 본질과 재벌의 기업지배구조

[소셜파워] 삼성 문제, 다시 국민적 논의를 모아야

지난 5월 26일 삼성의 이른바 “경영권 승계”를 위한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계획이 발표되었다. 메르스 사태로 국민들의 눈과 귀에 한쪽으로 ...

‘소득주도성장론’ 비판[4]

불평등과 분배에 대한 더욱 담대한 싸움과 전략을 위해

이런 대안담론들과 불평등에 대한 문제제기가 확산되는 가운데 ‘소득주도 성장론’도 역시 몇몇 연구자들과 정치인들 중심으로 수년 전부터 제기되기 시...

이건희 와병 1년, 무엇을 남겼나

[소셜파워] 증여세 16억 내고 400조 기업 꿀꺽

심근경색으로 쓰러져 심폐소생술까지 받았던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병석에 누운 지 1년이 됐다. 사망 설까지 나왔던 이 회장은 아직 인지기능조차 ...

어쩌다 부동산 소유가 복지를 대신하게 됐을까?

[주례토론회] 한국의 자산기반 생활보장체계와 조세정치

본 발표문은 생활보장체제 개념을 이용하여 한국사회에서 사회적 위험에 대한 대응체계가 어떻게 형성, 변화되어왔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생활보장체제가...

손실의 사회화를 눈 뜨고 보고만 있을 것인가?[1]

[소셜파워] 현대중공업, 금호산업, 폭스바겐

올해 건설, 조선, 철강 등의 업종이 어렵다는 전망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건설은 정부의 인위적인 경기부양 정책으로 부동산 시장이 회복되고 있...

핀란드 노키아 몰락 속에 비친 절대기업 ‘삼성’과 한국

[소셜파워] 기업국가냐, 사회화냐 그것이 문제로다

우리에겐 북유럽 복지국가의 하나로만 알려진 핀란드, 그러나 2012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거듭하면서 심각한 경제 불황을 겪고 있다. 이에 지친 ...

소련 사회주의 경제개혁의 쟁점과 수리경제학파의 등장[2]

[주례토론회] 1950년대 이후 소련의 주요 경제학적 쟁점

소련 수리경제학의 개척자들(넴치노프, 노보쥘로프, 칸토로비치)은 1920년대부터 자신의 학문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그들 각자의 학문적 배경은 모...

금융채무자의 ‘안락사’를 위한 앙상블[1]

[기사로 보는 경제](28) 국민행복기금과 안심전환대출

안심전환대출에 대한 관심과 함께 비판여론이 뜨겁다. 출시 몇 일만에 40조원이 전환대출 되었으니 기록적인 성과라 할 수 있다. 이런 성과만큼이나...

자본주의 위기, 사회화 대안을 말하다

[참세상 특강](1) 자본주의의 위기, 사회화 그리고 국가독점자본주의(론)

1997년 한국 외환위기와 2008년 세계금융위기에서 대중적으로 각인된 가장 인상적인 현상이라면 단연 자본주의 위기 자체와 이에 대한 국가개입일...

재벌의 실험장으로 드러난 창조경제혁신센터 

미래부, 올해 상반기까지 대기업과 손잡고 17개 시·도 혁신센터 출범

미래부가 추진 중인 창조경제가 기존 대기업 실험장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은 삼성과 손잡고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에 나섰다.

이윤율 논쟁과 “오래된” 마르크스적 이윤율의 역설

[기고] 자본주의 위기논쟁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들(4)

먼저 일련의 이루어졌던 필자의 참세상의 기고글은 어떤 특정 인물이나 이론적 입장을 비판한다고 할 수는 없다. 그 글은 더 넓은 범위에서 19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