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공유’ 하는 아마존, 노동자에겐 얼마나 분배할까?

지난해 베조스 재산은 시간당 126억, 노동자는 1천원 증가…“대안은 국유화”

최근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협력이익공유제를 제안하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코로나로 이익을 얻은 계층이나 업종이 피해를 입은 이들을 자발적으로 돕자는 취지다. 여권이 말하는 대표적인 협력이익공유제 시행 해외 기업 명단에는 세계 최대의 온라인 쇼핑업체 아마존도 이름을 올렸다. 그러면 아마존은 자사 노동자들에게는 얼마나 많은 이익을 분배하고 있을까?

[출처: DemocracyNow!]

아마존은 실제로 코로나 팬데믹 이후 수익이 가장 극대화된 기업 중 하나로 그 수익의 일부를 보상의 형태로 노동자나 하청업체에 배분했다. <블룸버그>(6월 29일), <씨엔비시>(11월 26일) 등 미국 언론이 보도한 기사를 종합하면, 아마존은 지난해 자사 물류창고, 배달 노동자와 배달 하청업체 소유주들에게 모두 약 8억 달러(8,776억원)의 보너스를 지급했다. 6월에는 이달 근무한 노동자를 대상으로 정규직은 500달러(55만원), 비정규직은 250달러(28만원), 배달 하청업체 소유주들에게는 3,000달러(330만원)를 지급했다. 지난 연말시즌을 앞두고는 12월 근무 노동자를 대상으로 정규직은 300달러(33만원). 비정규직은 150달러(17만원)의 보너스를 책정했다.

그러면 아마존이 노동자와 하청업체에게 분배한 이익은 전체 수익에서 얼마나 많은 비중을 차지할까? 언론 보도를 종합하면, 아마존이 지난해 낸 순이익은 1분기에 25억3천500만 달러(3조901억원), 2분기 52억 달러(5조7044억원), 3분기 63억3100만 달러(6조9451억700만원)로 모두 140억6600만 달러(15조4304억200만원)에 달한다. 4분기 실적이 발표되긴 전이기 때문에, 최소 3분기 순수익 액수와 동일하게 계산하면 2020년 총순수익은 최소 203억9700만 달러(22조4570억9700만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리고 이에 아마존이 지난해 하청업체나 노동자에게 이익을 분배한 8억 달러를 대입하면, 그 비중이 3.92%로 집계된다. 정의당이 협력이익공유제의 대안으로 제시하는 2년 한시적 특별재난세 5%와 얼추 비슷한 수준이다. 그런데 이를 지난해 100만 명을 넘어선 아마존 노동자와 협력업체가 분배받았다고 전제하면, 이익을 나눴다고 하기엔 보잘 것 없는 수준이다.

반면, 제프 베조스 아마존 CEO의 재산은 지난해에만 주가 상승으로 740억 달러(7월 기준) 증가했는데, 이는 같은 해 아마존 예상 순수익 총액의 4배에 가깝다. 베조스가 소유한 아마존 지분은 약 11%로 그의 재산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이 때문에 미국에선 이러한 소득불평등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친 민주당 정책연구소인 브루킹스연구소 마저 지난 12월 보고서를 발표해, “아마존 일선 노동자들은 팬데믹 기간 시간당 0.99달러(세전, 1,086원)의 추가 수입을 얻게 될 전망이지만, 베조스의 재산은 시간당 1,150만 달러(126억1550만원) 증가했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의 많은 주요 소매 및 식료품 회사들이 대유행 기간 동안 수십억 달러를 벌었지만, 목숨을 걸고 일하면서도 임금이 너무 낮아 가족을 부양하기도 어려운 일선 노동자들과 그들의 횡재를 거의 공유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한편에선, 코로나 팬데믹 시대 이 같은 소득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국유화밖에 답이 없다고 말한다. 미국 진보언론 <인디즈타임스>에 파리 마르크스는 지난 3월 “아마존을 공공의 소유로 전환하면 정부가 코로나19 및 경제 위기에 대응하는 능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노동자 탄압, 기후변화에 부합하는 에너지 공급, 더 많은 독점 시도와 같은 거대 기업의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씨엔비씨> 10월 1일 보도에 따르면, 아마존이 3월 1일부터 9월 19일까지 코로나19에 감염됐다고 밝힌 노동자의 수는 1만9000명에 이른다. 이는 아마존이 일선 노동자들과 미국 13개 주 검찰의 감염자 수 공개 요구를 묵살하다 뒤늦게 발표한 수치다.
태그

자유와 책임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정은희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
  • 참세상 독자

    국유화는 한국 공기업을 보는 것처럼 적자가 나도 놀고 먹는 곳입니다. 민간기업만큼 경쟁력은 없지만 놀고 먹는 곳입니다. 실상 국유화는 전시경제로 기능할 때만 답입니다. 그런데 자본주의의 국유화는 공황과 실업을 해소해주지 못합니다. 국유화를 감상하면 나라가 다 해줄 것 같지만 극단적인 경쟁을 시작하게 됩니다. 역사상으로는 히틀러 시대의 국유화, 레닌 시대의 국유화로 양자가 다 전쟁으로 돌입했습니다. 자본주의 전시경제의 효율성은 공공근로가 최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상은 나올 수가 없습니다.

  • 참세상 독자

    지금은 세계 어느 "인민"들도 세계사의 혁명적인 이행기를 자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 위기는 매우 깊습니다. 단순하게 1930년대 이후의 일회성 공황이 아닙니다. 미국이 이러한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예전 구소련에서 우상이었던 동상들이 쓰러지고 탱크가 '의사당'으로 가서 서너 발 발포를 하면서 붕괴하지 않았습니까. 미국이 지난 해와 올해 초 이러한 모습들을 흡사하게 보여주었습니다. 구소련보다 더 깊은 경제위기와 기나 긴 민심의 동요, 4명의 사망이 발생한 의회동요를 보았습니다. 이것은 일회성 세계 자본주의의 공황이 아닌 세계 자본주의의 퇴보적인 암흑기의 모습일 수 있습니다.
    지금은 세계 모든 "인민들"이 한 국가의 역사적 이행기와 세계사적인 이행기에 준하는 마음의 준비를 하여야 합니다.
    세계 대부분의 주식은 노동력을 완벽하게 구축하고 있다는 판단으로 큰 요동을 치지 않고 계속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앞으로는 미국과 중국의 경쟁, 세계 국가주의와 민족주의의 경쟁 등을 지속적으로 더 봐야 알것입니다.
    아무튼 세계 주식과는 다르게 미국의 사재기는 진행되고 있고 인플레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점점 올라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국가 간의 전쟁과 세계적인 계급투쟁을 자각하지 않을 수 없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도 부인할 수 없습니다.
    한국은 지금까지 선방을 해왔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한국의 "인민들"은 한국이 역사적으로 강대국들의 경쟁에 이은 전쟁으로 한방에 휩쓸려갔던 곳이라는 항상 자각해야만 하는 곳입니다. 이번 조선의 당대회도 큰 실수를 한 것입니다. 일국에서 착취에 눈을 뜬 하룻밤 강아지가 세계적인 제국의 범이 저지르는 착취를 제대로 볼 수 없었던 것입니다.
    북한의 핵을 이제야 최고 20~30개로 본 답니다. 미국의 핵이 8000개를 넘은 지 오래 전입니다. 북한의 핵이 미국 땅을 닿을 때는 개미가 미국의 몸을 닿는 정도도 못되는 것 아닙니까.

  • 첫 세상

    완전 또라이들이라니까 언제는 뭐 10년치를 말아서 하자고 하더니만 이제 뭐가 아쉬운지 타결금 좀 만져봤으면 좋겠단다. 추진력이 있나 추동력이 있나, 거져 남 이용이나 해먹고 살면 최고라고 생각하지, 최소 민주파처럼 감옥은 두려워하지 말아야지. 현장에서 일만 해도 몸버린다고 무시하는 것들이 타결금을 어떻게 빨리 받어. 책 외워서 글자 쓰면 월급 나오고 세상이 바뀌냐 머리 좋네 천재의 스승인가보구나

  • 참세상 독자

    현중지부가 이 부분을 자각해야 한다. 작년인가 제작년인가 우파 성향들이 더민주당의 반노동자성 국회의원 사무실을 하나도 빼놓고 않고 점거했다는 것을. 이것은 한쪽으만 보면 좌파의 위기로 볼 수도 있지만 노조가 중심만 잘 잡으면 절호의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왜냐 우파 성향까지 동지로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니까.

  • 참세상 독자

    떡입부터 알아본다면서 문경락이 니는 노란색보다 더 바랬다니까.

  • 문경락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늘 건강하시길...
    한편에선, 코로나 팬데믹 시대 이 같은 소득불평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국유화밖에 답이 없다고 말한다. 미국 진보언론 <인디즈타임스>에 파리 마르크스는 지난 3월 “아마존을 공공의 소유로 전환하면 정부가 코로나19 및 경제 위기에 대응하는 능력을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노동자 탄압, 기후변화에 부합하는 에너지 공급, 더 많은 독점 시도와 같은 거대 기업의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