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부산지하철매표 해고노동자 화장실 사용 막아

여성 해고노동자 2명 항의과정에서 실신, 경찰 과잉진압 논란

  지난 17일 여성 해고노동자가 실신해 구급차에 실려가고 있는 모습 [출처: 부산지하철매표소 해고노동자 현장위원회]

지난 17일 부산시가 고용승계를 요구하며 천막농성을 하고 있는 부산지하철매표소 해고노동자의 시청 화장실 이용을 막아 이에 항의하는 여성 해고노동자 2명이 실신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에 부산지역 일반노조와 '부산지하철매표소 해고노동자 고용승계를 위한 대책위(대책위)'은 부산시의 해고노동자 인권차별과 경찰의 과잉진압에 대해 허남식 부산시장의 공개사과를 요구하고 나섰다.

부산시, "일반시민이 아니다"는 이유로 해고노동자 화장실 사용 통제

사건의 발단은 매주 금요일 시청 앞에서 열리는 '부산지하철매표 해고노동자 고용승계를 위한 촛불문화제'가 개최되기 앞서 행사에 참가한 조합원과 매표비정규 여성 노동자들이 청사 내 화장실을 이용하려는 과정에서 벌어졌다. 부산시는 그동안 화장실 이용을 허용하다 이날 갑자기 "일반시민이 아니다"라는 이유로 화장실 이용을 통제한 것.

이에 해고노동자들은 화장실 사용통제에 대해 항의에 나섰고 이 과정에서 경찰과 해고노동자들 사이에 충돌이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이대경 지하철 해고 노동자 현장수석이 인대가 늘어나는 부상을 당했으며 여성노동자 2명은 현장에서 실신해 인근 병원에 급히 호송되기도 했다.

현재 다친 사람은 모두 4명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이들은 동의의료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이날 촛불문화제는 급히 규탄집회로 변경, 참석자들이 부산시와 경찰의 사과를 요구하며 강력 항의하기도 했다.

  해고노동자들이 시청 화장실 출입을 막는 경찰에게 항의하고 있는 모습 [출처: 부산지하철매표소 해고노동자 현장위원회]

[출처: 민주노총 부산본부]

대책위, 인권차별과 폭력진압에 대해 허남식 시장 공개사과 요구

한편 부산지역 일반노조와 대책위는 이날 사태의 원인을 해고노동자에 대한 '인권차별'과 경찰의 '폭력진압'으로 규정하고 책임있는 당사자와 허남식 시장의 공개사과를 요구했다.

이국석 일반노조 위원장은 "인간의 생리적 현상까지도 경찰 폭력으로 막는 허남식 시장이 어떻게 부산시민의 편리와 안락을 책임지겠냐"며 반문하며 "오늘의 문제에 대해서는 분명히 책임있는 당사자와 허남식 부산시장의 공개사과가 있어야 할 것”이라고 엄중 경고했다.

대책위도 18일 성명을 통해 "부산시는 부산지하철매표 비정규 해고 노동자들의 시민적 권리에 대해 경찰력을 동원해 폭력을 행사했다"며 "화장실을 가겠다는 해고 노동자들에게 차별적 대우와 시민권을 박탈하는 것도 분노를 금할 수 없는데 이들에게 돌아온 것이 공권력의 폭력이라는 사실에 부산지하철매표 비정규 해고 노동자 고용승계 대책위는 더욱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성용 민주노총 부산본부 교육부장은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 "부산시와 경찰은 아직까지도 이날 사태에 대해 별다른 해명을 하고 있지 않다"며 "현재 대책위에서는 회의를 통해 경찰의 폭력진압과 부산시의 해고노동자 차별에 대해 인권위원회에 제소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 11일로 부산시청 앞 천막농성 100일째를 맞는 지하철매표소 해고노동자 23명은 지난해 9월 부산지하철 매표소 무인화로 인해 일터에서 쫓겨나 현재까지 투쟁을 이어오고 있다.
덧붙이는 말

정연우 님은 참세상 부산경남지역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태그

부산시 , 지하철 해고

로그인하시면 태그를 입력하실 수 있습니다.
정연우 기자의 다른 기사
관련기사
많이본기사

의견 쓰기

덧글 목록